계속 업데이트 하는 AI 정보, KAF에서 확인하세요!
1. 나노바나나(nanobananaPie) 모델 소개 및 화제성
나노바나나에 대한 첫인상: 처음에는 '또 다른 AI 도구'일 것이라고 생각했으나, 실제로 사용해보니 매우 인상적이었음.
기존 AI 이미지 합성 도구의 문제점:
•
복잡한 프롬프트 작성법 학습에 많은 시간 소요
•
원하는 결과물을 얻기 위해 여러 번 재시도 필요
•
고품질 결과물을 얻기 위해 유료 결제가 필요한 경우가 많음
나노바나나의 차별점: 기존 AI 이미지 합성 도구와는 다른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다.
2. 나노바나나의 실제 성능 및 제미나이(Gemini) 체험
2.1. 제미나이 홈페이지를 통한 나노바나나 체험
기존 이미지 합성 방식:
•
복잡한 프롬프트 작성법을 공부해야 함
•
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결과물을 확인해야 함
•
결과적으로 원하는 퀄리티를 얻으려면 비용을 지불해야 함
나노바나나 사용 시 변화: 나노바나나를 사용하면 이러한 과정이 크게 달라진다.
실제 테스트 결과:
•
간단한 요청: 유재석 사진과 막대사탕 사진을 "합성해달라"는 간단한 요청만으로 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다.
•
빠른 결과물: 몇 초 만에 자연스럽게 합성된 결과물이 완성된다.
•
직관적인 사용: 별도의 프롬프트 학습 없이도 직관적으로 사용 가능하다.
2.2. 제미나이 성능의 장점과 한계
제미나이의 인상적인 성능: 제미나이 공식 홈페이지에서 사용해보면 성능이 매우 인상적이다.
일반적인 무료 AI 도구들의 명확한 한계점들이 잘 해결되어 있다.
물론 완벽하지는 않다.
제미나이 홈페이지 사용의 아쉬운 부분 (한계):
•
사용량 제한: 하루에 몇 번만 사용해도 사용이 제한된다.
•
속도 저하: 홈페이지 접속자가 많아지면 (특히 저녁 시간대) 속도가 느려져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.
•
접근성 제한: 제미나이 홈페이지에서만 사용 가능하며, 다른 환경에서는 접근할 수 없다.
3. 오픈라우터(OpenRouter)를 통한 나노바나나 무제한 사용법
3.1. 오픈라우터 시작 방법
간단한 준비: 복잡한 준비 과정 없이 다음 단계를 따르면 된다.
단계별 사용법:
1단계: openrouter.ai에 접속하여 오른쪽 상단의 'Sign in'을 클릭한다.
2단계: 가입 완료 후 openrouter.ai/chat으로 이동한다.
3단계: 왼쪽 상단의 'Add model'을 선택한다.
4단계: 'Gemini 2.5 Flash Image Preview (free)' 모델을 선택한다.
3.2. 오픈라우터 실제 사용 경험 및 장점
강호동 이미지 피규어화 요청 사례:
•
Before (제미나이 홈페이지): 몇 번 시도 후 사용량 제한에 걸렸다.
•
After (오픈라우터): 무제한으로 여러 번 재시도할 수 있었다.
•
재시도 기능: 응답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'Retry' 버튼을 눌러 다시 시도할 수 있다.
오픈라우터 사용의 개선된 점:
•
사용량 제한 없음: 하루 종일 사용해도 제한되지 않는다.
•
여러 번 재시도 가능: 원하는 결과물이 나올 때까지 계속 시도할 수 있다.
•
안정적인 접속: 홈페이지 폭주와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
3.3. 오픈라우터 사용 시 주의할 점
•
모델 선택 실수: 반드시 'Gemini 2.5 Flash Image Preview (free)' 모델을 선택해야 한다.
•
이미지 업로드 방법: 드래그앤드롭 방식이 가장 편리하다.
4. 결론 및 추가 정보
제미나이 성능에 대한 만족도: 개인적으로 제미나이의 성능 자체는 매우 만족스럽다.
활용 가치: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지만, 이미지 합성이나 편집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확실히 도움이 될 것이다.
오픈라우터 활용 추천: 특히 사용량 제한 때문에 불편함을 겪었던 사람들에게는 오픈라우터 활용법을 시도해볼 만하다.
5. 현재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
플랫폼/서비스 | 가능 여부 및 특징 |
Google Gemini 앱 | 공식 채널, 이미지 생성 및 편집 가능 |
Gemini API / AI Studio / Vertex AI | 개발 및 템플릿 기반 이미지 생성, prompt 기반 편집 가능 |
fal.ai | nano‑banana (이미지‑투‑이미지, 텍스트‑투‑이미지) 사용 가능, “$0.039 per image” 요금 구조 (Axios, developers.googleblog.com, fal.ai) |
OpenRouter.ai | |
Adobe.com | |
그 외 (Poe, WPP, Freepik, Leonardo.ai, Figma 등) | |
LMarena | 블라인드 비교노출 |